작성자 : 222 / 작성일 : 2014-12-24
시장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는 현재의 주류 경제학의 학풍에서는 버블 자체의 존재를 부인하고 있다. 특히 주류 경제학은 지금 경제가 버블 상태인가? 하는 질문을 항상 경제 주체가 비이성적인가? 라는 질문과 동일시하면서 버블 가능성 자체를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비이성적 투자자가 반드시 버블에 필수 요건인 것은 아니다. 투자자가 비이성적이지 않아도 정보가 비대칭적이면 얼마든지 버블 형성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버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것은 각종 경제 변수가 신용 확대를 정당화하느냐 하는 문제가 아니라 신용 확대가 없었다면 경제 변수가 어떠했을까하는 문제이다. 이 때문에 필자가 생각하는 버블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핵심 열쇠는 신용 확대다.
하지만 버블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주류 경제학이 버블의 존재 자체를 부인한다는데 있다. 특히 자산 가격의 분포가 종(bell)의 형태를 한 정규 분포와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사실상 설명력을 잃고 있다. 이 때문에 필자는 민스키와 맨델브로의 이론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민스키의 금융 불안 가설과 자기 강화적 양의 피드백은 버블 분석에 매우 유용하게 생각된다. 또한 맨델브로의 시장 메모리 효과도 역시 주목할만하다.
먼저 민스키의 자기 강화적 양의 피드백을 생각해 보자. 예를 들어 시가 총액이 100억원인 어떤 회사가 있다고 생각해 보자. 이 회사의 주식 한 주는 1만원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 때 증권 중개인이 수수료 1%를 붙여 한 주를 투자자에게 1만 100원에 팔았다. 그러면 당장에 이 회사 시가총액은 101억 원이 된다. 그러면 1억 원의 새로운 담보가 생긴다. 이에 따라 은행입장에서는 담보가 1억원 더 늘어난 것이 돼 새로운 1억원을 더 대출해 줄 수 있게 된다. 만일 이 1억원이 다시 이 회사 주식에 투자된다면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 이 주가 상승이 담보여력을 더 높여서 더 많은 대출을 받게 해준다면 그 여파로 주가는 더욱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더구나 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충족되는 상황에서는 주식을 팔지 않는다. 현대 주식시장은 자본을 조달하는 시장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자본을 빨아들이는 시장인 만큼 주가가 더욱 더 빠른 속도로 급등하는 강력한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이 것이 바로 자기강화적 자산 부채 사이클로 불리는 민스키의 이론이다.
반대로 최근 금융 위기 상황에서 자산 가격이 변화를 생각해 보자. 위기가 왔을 때 어떤 자산의 가격이 떨어지면 투자자들에게 그 자산은 더욱 위험하게 평가될 것이다. 이 상황에서는 이 자산을 팔려는 사람들이 더 늘어나게 되고 결국 값이 더 떨어져 위기가 가속화된다.
즉 맨델브로의 메모리 효과로 인해 자산 가격에 의한 득실이 기록되고 저장되게 된다. 이 때문에 자산 가격의 분포는 이 같은 양의 되먹임을 받아 종모양보다 훨씬 평평한 모습을 하게 된다. 이 것이 바로 롱테일 문제인데, 문제는 이 롱테일 문제를 주류 경제학처럼 예외로 취급하고 무시하기에는 너무나 파괴적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롱테일 문제에 대해 주류 경제학은 권위적으로 대응해 왔다. 문제를 제기하는 학자는 거의 대부분 좋은 대학에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이다. 더구나 노벨 경제학상은 아예 주류 경제학을 신봉하는 사람들로만 채워져 왔다. 이 때문에 현재의 경제학은 버블을 분석하는 어떠한 툴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같은 경제학의 학풍이 정치적인 이해 관계와도 맞물려 있다는 것이다. 버블이 한창일 때 관료나 정치권 그 어디에서도 그 버블을 완화하려고 하지 않는다. 버블이 계속될 때는 소위 ‘시장 원리’에 따라 방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다 정작 버블 붕괴 시에는 그 누구보다도 먼저 시장 개입에 나서는 것이 바로 관료나 정치권의 속성이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버블의 발생과 붕괴는 더욱 빈번해지고 그 강도가 세지고 있는 추세다.
이전글 : 뉴욕과 프린스턴을 오가며-1 (연합뉴스 김문성)
다음글 : 국민일보 김재중 기자의 연수기-미국의 ‘스승의 날’이 주는 교훈